[꿈구두대입정보] 2024 년 현재고2 대입전형계획 발표내용을 알려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현재 고2가 치르는 2024학년도 대입 전형계획이
최근 발표되었다.
주요 대학 대부분은 2023학년도 수능 반영 방법을 유지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일부 대학은 선택형 수능 체제에 따라
수학 선택과목을 변경하기도 하는 등 특히 교차 지원자를 고려하여
평가 방법을 고심한 흔적이 보인다.
2024학년도에 주요 대학 수능 반영 방법에서의
주된 변경 사항은 △수학 미적분/기하 가산점 폐지
△수학/탐구 선택 과목 변경 △영어 영역 변별력
축소 등이다. 성균관대는 다른 주요 대학에 비해
수능 반영 방법의 변화가 크다.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의 도움을 받아
주요 대학의 2024학년도 대입 전형계획상
눈에 띄는 변화를 정리했다.
○ 수학 미적분/기하 가산점 폐지 추세
상위권 주요 대학 대부분 인문계열에서는 수학과
탐구 반영 과목을 제한하지 않으며,
자연계열에 한해 수학은 미적분/기하, 탐구는 과학탐구 응시자가
지원이 가능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선택형 수능 이전 체제에서는 수학/탐구 영역에서 선택과목을 제한하지 않는 대학의 경우,
현재의 [미적분], [기하]에 해당하는 수학 가형과 과학탐구 응시자를
우선적으로 선발하기 위해 가산점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선택형 수능에서는 [미적분], [기하] 응시자가 [확률과 통계] 응시자에 비해
고득점을 받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미적분], [기하] 응시자에 대한 가산점은 점차 폐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2024학년도에 세종대와 성신여대는 자연계열에서 [미적분], [기하] 응시자에 대한 가산점을 폐지한다.
광운대도 정보융합학부에서 부여하던
[미적분], [기하] 및 과학탐구 응시자에 대한
가산점과 건축학과의 [미적분], [기하] 응시자에 대한 가산점을 폐지한다.
가톨릭대는 자연계열에서 과학탐구 응시자에 대한 5% 가산점을 폐지하면서
인문계열에서는 [확률과 통계] 및 사회탐구 응시자에 대한 5% 가산점을 신설하였다.
자연계 생활과학계열에서도 사회탐구
응시자에게 5%를 가산해준다.
변화되는 입시에 맞춰
딱~!! 맞춤 공부기술!! [공부끝판왕 ]이있습니다~!!
대학합격의 모든것이 궁금하다면 [공부끝판왕]과
❤️ 함께 하세요 ❤️
성공적 입시를 위한
학생부 끝판왕/과제탐구 끝판왕
방향키를 잡으세요~!!!
자세한 대입정보는 아래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m.blog.naver.com/ggumgd2018/222753507474